주식의 '주'자도 몰랐지만, '내일의 부'라는 책을 통해 조금이나마 간접경험과 수치보는 방법을 알게되었다.
경제관련 도서는 용어도 너무 어려워서 읽는 내내 힘들지만, 이책은 생각보다 술술 잘 읽을 수 있었다.
가장 기억에 남는 부분은 나스닥 차트 보는 방법에 대한 이야기 이다.
"-3% 규칙"
증감율 -3%가 나타나면 한달은 기다려야 한다. 그리고 한달을 기다렸을때 -3%가 뜨지 않는다면 긴급한 상황은 지나갔다는 것이다.
한달에 -3%가 4번 이상 나타나면, 공황이라고 표현할 수 있다.
-3%빈도가 3회 미만이 되어야 공황이 끝난다는 것이다.
-3%가 뜨면 팔고, 미국채권으로 넘어가야 한다는 것이다.
"어닝 시즌 확인"
어닝시즌이란 기업에서 실적을 발표하는 달을 말한다. 그리고 실적이 좋은달은 어능서프라이즈라고 표현을 한다.
실적이 좋지 않다면 어닝 쇼크라고 표현할 수 있다.
미국 어닝 서프라이즈 기업에 관심이 있다면, kr.investing.com 에 들어가서 재정상황 - 실적 - 실적발표일을 확인한다.
일반 - 과거데이터로 들어가면 실적 확인가능하다.
분기별로 수익률을 정해놓고, 그 이상 달성시 빠져 나와야 한다. 예를들어 10~20%
그리고 세계 1등 주식이 2등으로 떨어질 경우 판매를 한다. (미국 주식은 공식이 거의 맞다고 볼수 있다.)
"매수 매도 조건에 대한 팁"
- 매수조건 : 꾸준히 오르는 종목(그래프가 안정적이며 오르는 종목) 이어야 한다. 예를 들어 , -3%횟수가 1년에 20번 이하인 종목
- 규칙
1. 어닝 서프라이즈 이후 5일중 5일 오른 주식은 4일째 오르는 날 산다.
2. 어닝 서프라이즈 이후 10일 중 6일 이상 오른 주식은 6일째 오른날 산다.
3. 자산의 30% 정도를 10개로 나누어 산다. 나머지 70%는 1등 주식을 산다.
4. 어닝 서프라이즈 후 무조건 많이 떨어진 것(최소5% 이상)을 확인 후 오를때, 종가에 산다.
- 매도조건
1. 나스닥 일간지수에 -3%가 뜨면 팔고, 한달 기다린다.
2. 다음 어닝일 전날에는 무조건 판다.(어닝 쇼크가 일어날 수 있기 때문)
3. 매수가격에서 수익률이 -10%이상 떨어지면 판다.(이건 거의 무조건 매도)
4. 어닝 서프라이즈 이후 10일 중 6일이 오르지 않았다면 판다.
5. 분기 수익률이 20% 이상이라면 20% 아래로 떨어지면 판다.
기타 팁
- 주식은 장이 끝나기 전 종가에 산다.
- 미국 주식시장은 평소 밤 11시 30분에 시작해서 다음날 새벽 6시에 끝난다. 만약, 섬머타임이 적용된다면 한시간씩 앞당겨 진다.
- 어닝 쇼크 발생시 따져야 할 조건(1등 주식만 해당)
1. 1등 주식이 어닝쇼크가 나서 2등으로 밀렸는가?
2. 2등으로 떨어졌다면 시가총액이 새로 올라온 1등 주식과 10% 차이가 나는가?
위 두 조건이 맞으면, 1등 주식을 팔아야 한다. 그리고 새로운 1등을 사야 한다.
책읽고 나스닥 차트 받아서 분석해본 결과값이다. 9월달에 -3%가 나타난게 두번이나 된다. 지금은 잠시 멈춰야 할 때인가?
머니패턴을 읽고 (0) | 2021.12.14 |
---|---|
유튜버 내성적인 건물주가 쓴 “오늘부터 건물주” 라는 책을 읽고 (0) | 2021.12.13 |
[독서]잘벌고 잘쓰는 법 (0) | 2020.09.03 |
[독서]마인드셋을 읽고 (0) | 2020.07.14 |
[독서] 재테크의 99%는 실천이다 (0) | 2020.04.18 |
댓글 영역